구술사에서 공공역사 전환
이론적 쟁점 검토와 실천적 대안 모색
본 연구는 역사소비시대에 공공역사와 구술사의 협업을 통해서 역사학이 지향해야 하는 하나의 방향을 제시하고, 구술사를 통한 다양한 공공역사의 장(場)을 검토 분석하여 한국 공공역사의 성장과 구술사의 공공성 확대를 이루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가 진행할 4개 영역의 구체적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본 연구가 진행할 4개 영역의 구체적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술사와 공공역사
공공역사의 관점에서 구술사의 궤적을 정리하여 한국 공공역사 현황을 파악하고 구술사와의 관계를 정리한다.
이와 함께 공공역사, 기억, 구술사의 상호관계에 대한 이론적 접근들을 검토한다. 이 과정을 통해 한국 공공역사의 쟁점들을 분석하여 앞으로의 방향을 제시하고 대학에서 활용할 수 있는 공공역사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이와 함께 공공역사, 기억, 구술사의 상호관계에 대한 이론적 접근들을 검토한다. 이 과정을 통해 한국 공공역사의 쟁점들을 분석하여 앞으로의 방향을 제시하고 대학에서 활용할 수 있는 공공역사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공공기억과 지역문화유산
자전적 기억과 문화적 기억의 유산화에 대한 이론적 접근들을 검토한다.
자전적 기억이 공공기억화하여 문화유산이 된 사례들을 외국의 경우 미국, 영국, 호주와 싱가포르에서 찾아보고, 국내에서는 우선 무형문화유산을 둘러싼 복합적인 상황을 진단하고 영남과 호남 지역을 중심으로 사례들을 분석할 것이다. 이 과정을 통하여 국내에 맞는 지역문화유산화 모델을 제시할 것이다.
자전적 기억이 공공기억화하여 문화유산이 된 사례들을 외국의 경우 미국, 영국, 호주와 싱가포르에서 찾아보고, 국내에서는 우선 무형문화유산을 둘러싼 복합적인 상황을 진단하고 영남과 호남 지역을 중심으로 사례들을 분석할 것이다. 이 과정을 통하여 국내에 맞는 지역문화유산화 모델을 제시할 것이다.
구술아카이브 구축과 서비스 방안
국내 구술채록기관의 구술아카이브 현황을 조사하여 국내 구술아카이브 서비스 시스템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파악한다.
미국, 영국, 호주 국립도서관의 구술아카이브 서비스 시스템을 분석하여 국내 지자체나 민간단체까지도 활용할 수 있는 구술아카이브 정보서비스 메뉴얼을 제시한다.
미국, 영국, 호주 국립도서관의 구술아카이브 서비스 시스템을 분석하여 국내 지자체나 민간단체까지도 활용할 수 있는 구술아카이브 정보서비스 메뉴얼을 제시한다.
구술사와 공공역사의 협업
①
②
③